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예술] 낙서 : 우리의 본능 혹은 갖추어야 할 소양 - 댄 퍼잡스키(Dan Perjovschi) 내한 개인전

Review/Art

by steve vai 2011. 12. 5. 01:19

본문


댄 퍼잡스키(Dan Perjovschi)의 전시회는 처음부터 갈 수 있었으나 매주 몸이 아프고 일이 생기고 찾지 않던 고객들이 찾고 ... 이 전시회 마지막의 전주에서야 시간을 낼 수가 있었다.

이 작가와 전시회를 올포스트를 통해서 알게되었지만 ...

이제까지의 그림을 통한 표현은 사실주의와 사진같은 그림만 좋아했던 본인에게는 너무나 충격적이 였고 꽤나 마음에 들었다.


낙서라는 것의 유래에 대해서 학술적으로 접근하지 않아도 우리에게는 예술 이전의 기본기에 해당하는 부분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그래서, 너무 기본적인 몇개의 선을 통해서 표현이 된 이 작품을 통해서 많은 생각을 할 수 있었다.


우리 주변의 언론이라는 존재는 극소수를 제외하고 대부분이 진실되지 못 하다.

광고에 의존하기 자주적인 편집권이 없다는 것에 대해서 풍자하는 듯한 작품들로 전시회에는 가득하다.



작가가 전하는 메시지와 관람을 하면서 공감할 수 있는 작품의 이야기를 눈으로 듣다가 보면 오후 3시 경에 입장을 했지만 폐관시간(6시)까지 무척 짧게 느껴졌다.


물론, 작가가 생각하는 부분과 관람자가 느끼는 부분이 다르기는 하겠지만 ...

작가의 메시지가 확고해서 우리가 느끼는 부분은 그렇게 다르지 않다.




그 짧게 느껴진 순간에도 꽤나 많은 시간으로 머물렀던 곳이 여기다.


제목은 본인 마음대로 붙여보았다.

1. 문명의 충돌 : 우리 주변에는 정말 많은 맥도날드(미국 브랜드)와 파리빠게뜨(국내 브랜드)가
                            있는 것을 보고 그렸다는 이 작품은 "파리"라는 이름의 이 브랜드도 우습지만
                            우리 입맛에 맞추어서 국내화가 된 외국의 상표가 우습게 느껴지는데
                            이 두 브랜드를 경쟁적으로 팽창해 나가가는 것을 보고
                            "the clash of the civilizations in Seoul" ... 그림과 문장이 꽤나 인상적이다.
                            
2. 꿈의 크기, 빚의 크기 : 꿈의 크기를 키우기 위해서 빚의 크기를 키워야 하는
                                           현실을 이야기하는 것 같다.

                                           좋은 학교를 가려면 좋은 직장을 가려면 좋은 환경과 좋은 위치와
                                           좋은 집을 위해서 라면 부채를 많이져야하는 것을 풍자하고 있다.

3. T Korea : 작가는 한 무선 통신회사의 브랜드로 고개를 숙이고 다니는 사람들을
                    꽤나 관찰한 것 같다. 저런 일괄적인 면에 대해서 몰개성화가 되어가는
                    우리의 모습을 통해서 자신들의 미래도 우려하지 않을까?

4. SO SOS : 사회주의국가(루마니아)가 모국이지만 그래도 우리 역시도 꽤 심각하고
                     위험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는 것 같다.

5. M.E : 휴대폰과 자신은 하나라는 것을 뜻하고 있다.
              꽤 많은 시간을 같이하고 ... 시간을 보내는 모습을
              이 외국인의 시선에도 그렇게 보였나보다.

6. 2 Hours to Job, 50 Years to House : 아마 일을 하기 위해서 2시간동안 이동을 하고
                                                              50년 동안 일을 해야 겨우 집을 얻을 수 있다는 것
                                                              역시도 ... 우리 아이들도 짊어져야할 ...
                                                              숙제를 지금의 기성세대로 역시도 풀어줄 수 없다는 것에
                                                              대해서 고개가 숙여진다.

7. DEAL : 직업을 우리는 단지 돈을 벌기 위한 수단으로만 생각하고 있는 것인지?
                  자본주의의 추악한 부분을 간단한 드로잉으로 잘 해석하고 있다.

                  그냥, 현재 먹고 사는데서 더 빠질까봐 ... 두려워해서 ...
                  자본 밑에서 비굴하게 사는 마인드와 사회적인 구조이다. 
                  꼭, 큰 금액과 큰 거래건으로 그럴싸 해보이지만 일반적인 구조에서 우리에게
                 저런 모습이 없는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8. Suicide : 자살을 하는 사람의 비율이 높다는 우리의 현실을 고개숙인 모습으로 드로잉한
                  작가의 시선은 꽤나 걱정스럽고 우울하게 보여진다.

9. Funny Summer Fashion : 본인 역시도 저 장화 패션의 실체를 알고 싶었다.
                                              몇해전부터 보이던 저 패션 ...
                                              작가는 몰개성을 걱정을 하지만 비웃기라도 하는 듯하다.

                                              이번 여름에도 얼마나 신고 다닐까 ...
                                              우수꽝스러운 다른 부분은 없는 것인지?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고 살 필요는 없지만 ...
                                              그렇다고 문화나 유행에도 다양성을 좀 가질 수 있었으면 좋겠다.

                                              비슷한 형식의 음악과 비슷한 복장과 비슷한 춤을 추는 KPOP고 같다. 

                                              우리가 좋다고 생각하는 부분에 대해서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10. Job : Steve Jobs의 전기에 보면 무책임한 엔지니어에 대해서 경계하는 부분의 글이 나온다.
              우리는 늘 일에 빠져사는 것에 대해서 선이라고 생각을 한다.
              아니다. 그렇게 강요 당하고 살아왔다.
              마치 아들 아이에게 울지마라고 윽박지르는 본인의 모습처럼 ...

              어떤 사회든 가족이 중요하다. 개인의 성취에 있어서 희생을 강요받으면 곤란하다.
              그래야지 ... 무너져가는 사회에 대해서 생각할 수 있다.